반응형 전체 글53 한자의 부수 ② - 변형된 부수 정리 및 한자 뜻풀이 부수는 글자 그 자체로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고 글자 속에서 일부분으로 사용되어 그 구조가 다른 경우도 있다. 다른 한자와 형태적으로 적절한 조화를 이루기 위함이고, 정사각형이라는 한자의 그 기본 틀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강조했던 한자의 부수, 그 중에서도 변형된 부수에 대해서 학습해볼 것이다. '한자 부수를 알면 한자의 뜻이 보이기 때문이다.' 사람 인(人) 사람 인(人) 한자는 변형되어 사용될 경우 아래와 같다. 人 → 亻 仁, 仙 지난 시간에 부수의 위치에 따른 명칭을 배웠던 대로 글자의 왼쪽에 부수가 있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변(邊)에 해당하는 부수다. 처음 보는 한자라 할지라도 사람 인 부수가 변형되어 사용되는 것을 보게 되었다면 뭔지는 몰라도 사람과 관련된.. 2022. 6. 25. 한자의 부수 ① - 개념 및 유래, 부수 위치에 따른 명칭 지금까지 중국어와 중국어를 표기하는 문자인 한자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한자는 표의문자로 뜻을 표기하는 문자이기 때문에 글자를 보고 어느 정도 뜻을 유추할 수 있고, 이를 위해서는 기본 부수 214개를 알면 큰 도움이 된다고 이야기 한 바 있다. 그래서 오늘은 한자 부수의 개념 및 유래, 부수 위치에 따른 명칭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다. 한자 부수 개념 부수는 앞서 간략하게 설명했던 편방과 혼동하기 쉽다. 한자의 왼쪽 획인 편과 오른쪽 획인 방을 통틀어서 편방이라고 지칭하는데, 편방은 한자를 분해했을 때 의미를 가지는 최소 단위라고 볼 수 있다. 부수는 이러한 편방 중에서도 사용 빈도가 아주 높은 것들을 모은 것이다. 어떻게 보면 편방이라는 큰 개념 안에 부수가 포함된다고도 볼 수 있겠다. 한자 부수.. 2022. 6. 25. 4,000년 전 갑골문부터 오늘날 간체자까지 한자의 변천과정 한자는 지금으로부터 5,000년 이상 전에 만들어졌다고 보는 이들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존재하는 자료들과 기록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약 3,600년 전 은(상)나라 시대에 시작된 갑골문이 한자의 시초라고 보는 게 정설이다. 갑골문(甲骨文) 갑골문은 거북의 껍질인 귀갑(龜甲)과 물소의 뼈를 뜻하는 우골(牛骨)이 합쳐져 갑골이란 말이 된 것으로 거북의 껍질이나 물소의 뼈에 문자를 새긴 것이다. 기원전 1,300년 경 사용된 문자로서 그 당시에는 거북의 껍질이나 물소의 뼈에 불로 지져서 갈라진 흔적을 보고 점을 치는 풍습이 있었다. 갑골문은 청나라 말기에 출토되기 시작해 갑골에 실려 있는 문자는 약 4,500자이지만 실제로 해독이 가능한 문자는 그 중 3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 금문(金文) 금문은 은주.. 2022. 6. 25. 중국어 어법 기초 ③ - 중국어 보어의 이해 영어에는 보어가 있고, 보어의 역할이 굉장히 크기 때문에 영어 학습에 있어서 보어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 말에는 문장 성분 중 보어가 없기 때문에 처음 보어를 학습할 때 와닿지 않아 어려움을 겪곤 한다. 중국어에도 영어처럼 보어가 있어 중국어 학습 시 보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중국어의 보어 중국어의 보어는 동사나 형용사를 보충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동사나 형용사 뒤에 사용되어 방향이나 동작의 결과 등을 나타내며 중국어 보어의 종류로는 여러 가지가 있다. 구조에 따라서 결과보어, 방향보어, 가능보어, 양태보어, 정도보어, 수량보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결과보어 결과보어는 동작을 묘사하거나 동작의 결과 등을 보충설명해주는 역할을 한다. 听懂 에서 동사는 听으로 ‘듣다’의 의미를 가진다. .. 2022. 6. 21.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