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어 학습2

중국어 학습: 첫걸음, 한자와 간체자 이해하기 중국어 학습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단연 한자입니다. 바꿔서 말하면 한자와 간체자를 이해하고 나면 중국어 학습을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다행히 우리나라는 한자문화권에 속하여 기본적인 한자를 어릴 때부터 익히고 있습니다. 또한, 많은 단어가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어 서양 문화권 학습자에 비해 중국어 학습에 있어서 비교적 유리한 위치에 있습니다. 예를 한번 들어볼까요? '미래'라는 단어는 "未(아닐 미) + 來(올 래)"로 구성되어 있으며, "wèi lái"라는 발음은 한국어 발음과 유사합니다. 또한, '아직 오지 않았다'는 한자의 의미를 보고 '미래'를 유추해낼 수 있습니다. 반면에 미래는 영어로 'Future'로 한자와 어떤 유사성도 갖지 못하죠? 이러한 한자와 간체자의 유사성을 통해 중.. 2024. 1. 29.
중국어 어법 기초 ① - 중국어 어순에 대한 이해 우리나라는 동아시아문화권에 속하기 때문에 한자라는 공통분모가 있어 한자 학습에 유리한 부분은 분명히 있다. 그러나 중국어를 학습할 때는 한국어의 어순이나 한국어 습관 때문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곤 한다. 따라서 중국어 어법을 학습할 때는 먼저 중국어 어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중국어 어순 우리말은 주어, 술어(동사), 목적어에 대한 개념이 타 언어만큼 뚜렷하지 않다. 예를 들어 ‘밥을 먹고 싶다’는 문장을 구사할 때 주어, 술어, 목적어 순으로 구성하더라도 저는(주어) 먹고 싶어요(술어) 밥이(목적어) 크게 문제가 없는 문장 하나가 만들어진다. 술어, 목적어, 주어 또는 술어, 주어, 목적어 순으로 구성하거나 주어를 생각하더라도 문장이 크게 어색하지 않다. 먹고 싶어요 밥이. 먹고 .. 2022. 6. 19.